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정보

행정공제회 vs 연금저축펀드 비교정리

by 사랑이네 정보 바구니 2024. 8. 28.

행정공제회 vs 연금저축펀드

안녕하세요. 오늘은 행정공제회와 연금저축펀드에 대하여 비교해 보겠습니다.

공무원이라면 다들 행정공제회는 가입되어 있을 텐데요. 나름의 장점도 있지만 연금저축펀드와 비교해 우위에 있는 것과 조금 부족한 부분도 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죠

공무원 행정공제회

공무원행정공제회는 공무원들의 노후를 위해 설계된 공제회로써 일정금액을 납입하여 퇴직 후 연금 혹은 퇴직금처럼 지급받는 서비스입니다.

  • 납입금액 : 월 1만 원 ~ 200만 원
  • 이자율 : 연 금리 4.92%, 변동금리, 복리
  • 주요 혜택 : 이자소득 0% ~ 4.81% 저리과세

행정공제회 공제회비 상세 조회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 종류 중 가장 대중적인 유형으로 주식, 펀드, 리츠 등 다양한 투자 옵션이 있으며, 가입기간 동안 세액공제, 이자소득 면제로 혜택을 누리며 노후 준비를 하는 상품입니다.

  • 납입금액 : 연 1,800만 원 한도 내 자유납입
  • 수익방식 : 펀드, 주식, 리츠, 예금 등 다양한 금융상품 투자
  • 주요 혜택 : 세액공제 연 600만 원, 세액 공제율 13.2% ~ 16.5%, 가입기간 내 소득, 배당, 이자 등 비과세

공무원 행정공제회 vs 연금저축펀드 비교

행정공제회는 월 1만 원부터 200만 원까지 범위 설정이 가능하며, 매월 월급에서 설정한 금액만큼 사전 공제됩니다. 반면 연금저축펀드는 연 1,800만 원 한도 내 자유납입으로 돈을 넣는 데는 좀 더 자유롭습니다. 일반적으로 세액공제 한도인 연 600만 원까지 활용합니다. 

공무원 행정공제회는 장기간동안 복리저축으로 안정적인 목돈 마련을 할 수 있으나, 금리변동이나 물가상승 등으로 인하여 기대만큼 수익이 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는 주식, ETF 투자 등으로 높은 수익을 노릴 수 있으나, 원금 보장이 되지 않기에 자칫 잘못하면 큰 손실이 일어날 수도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공제회는 원금과 이자가 쌓이는 동안 0%부터 4.81%의 저리의 이자소득세를 납부하므로 목돈을 타갈때 혜택을 봅니다. 연금저축펀드는 투자하는 기간 동안 세액공제로 매년 연말정산 때 환급과 투자수익에 대한 비과세 혜택이 있어 세금 문제의 측면에선 연금저축펀드가 좀 더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중도해지, 중도인출은 둘 다 가능하나 연금저축펀드의 경우 인출 혹은 해지 시 기타소득세가 16.5% 가세되므로 손실이 발생합니다.

 마치며

일반 금융상품과 비교해 행정공제회나 연금저축펀드 둘다 훌륭한 상품은 틀림없습니다. 공무원 행정공제회는 이자소득세 감면, 연금저축펀드는 세액공제, 소득면세로 두 가지 다 특혜 상품이죠. 본인의 투자성향에 따라 안정적으로 갈 것이냐 위험부담이 있더라도 높은 수익을 노릴 것이냐를 택하면 되지 싶습니다. 안정적인 노후 자금 마련을 위한 현명한 투자가 있길 바랍니다.

행정공제회 단기적립급여 특판 적금 금리 신청기간 방법 정리

공무원 행정공제회 예금 한아름목돈예탁 금리 한도 비과세 조건 정리

공무원 행정공제회 대출종류와 금리정리

공무원 행정공제회 vs 개인 퇴직연금 IRP 비교 정리

공무원 행정공제회 vs 연금저축펀드 비교정리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