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정보

행정공제회 한아름목돈 금리 비과세 정리

by 사랑이네 정보 바구니 2024. 9. 2.

행정공제회 한아름목돈 금리 비과세

안녕하세요 오늘은 공무원 행정공제회 한아름목돈예탁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은행에 목돈을 맡기는 예금상품과 같은 건데요. 은행이 아니라 행정공제회에 맡기는 거죠. 행정공제회의 예금상품 한아름목돈예탁 금리, 한도 및 비과세 조건 등에 대하여 정리해 보겠습니다.

한아름목돈예탁 금리, 한도

2024년 4월 1일 기준 최대 연 4.30%로 상당히 높은 금리입니다. 1 금융권 은행, 저축은행 예금상품 최고 금리가 3퍼센트 후반대 인걸 감안하면 좋죠, 시중은행 상품들은 우대금리 조건도 맞춰야 하고 금리 좋은 구간 한도도 그리 크지 않습니다. 심지어 한아름목돈예탁은 '단리'인 시중 상품과 달리  '복리'상품이네요.

예탁의 가입 조건은 행정공제회 일반회원(재직 중인 공무원) 또는 퇴직한 회원(퇴직 공무원)이며, 예금 가입금액은 100만 원부터 최대 7억 원까지입니다.

상환방식은 4가지 중 선택이 가능하며, 만기지급식, 부가금 지급식(매년, 매월), 원리금 지급식이 있습니다.

만기지급식, 부가금 지급식(매년) 2가지는 1년제 이상 연 금리 4.30%, 6개월 2.10%이며, 부가금 지급식(매월), 원리금 지급식 연 금리 4.21%, 6개월 2.08%입니다. 원금을 오래 들고 있는 유형이 아무래도 조금 더 유리한 금리를 제공하네요.

  1. 만기 지급식 : 만기일에 이자와 원금을 한 번에 지급
  2. 부가금 지급식(월, 년) : 이자를 매월, 매년 지급 원금은 만기지급
  3. 원리금 지급식 : 매월 균등하게 원금일부와 이자를 지급

한아름목돈예탁 상세 조회하기

예금이자 비과세 대상

 한아름목돈예탁은 행정공제회 회원자격인 재직 중인 공무원 또는 퇴직 공무원이라면 누구나 가입가능하지만 비과세 종합저축 가입은 대상이 따로 있습니다.

  1. 만 65세 이상인자
  2. 장애인 복지법에 따른 장애인
  3. 국가유공자
  4. 독립유공자와 유족, 가족
  5. 기초생활수급자
  6. 고엽제후의증 환자
  7. 5.18 민주화운동 부상자

다만, 직전 3개 과세기간 내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로 선정된 경우 비과세 대상 제외되며, 가입금액이 최대 7억 원까지인 한아름목돈예탁이지만, 비과세 유형은 최대 가입금액이 5천만 원까지입니다. 

한아름목돈예탁(비과세종합저축) 조회하기

중도해지하는 경우

예치기간에 따라 이자 지급비율이 다릅니다. 3개월 미만은 산출이자의 30%, 3개월 이상 ~ 6개월 미만 산출이자의 50%, 6개월 이상 ~ 1년 미만 산출이자의 70%, 1년 이상 산출이자의 100% 지급합니다. 구간별 이자 지급률이 많이 차이 나니 가급적 1년 이상 채우고 해지하는 게 좋지 싶습니다. 정 급하면.. 일부는 예탁 담보대출이 나을 수도 있고요.

마치며

이상으로 공무원 행정공제회 예금 한아름목돈예탁 금리 한도 비과세 조건 정리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높은 금리의 복리 예금, 급할 땐 담보대출로 돈을 뺄 수도 있고, 만 65세 이상이라면 비과세 혜택까지 좋은 상품인 것 같습니다. 저도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게 비과세 좀 받아보고 싶네요..

행정공제회 단기적립급여 특판 적금 금리 신청기간 방법 정리

공무원 행정공제회 대출종류와 금리정리

공무원 행정공제회 vs 연금저축펀드 비교정리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